[2015.09 알통 193호] 병해-과수 화상병의 병리 > 알통


소식 및 문의 자원 활용, 병해충 방제, 재배기술 개발, 농업경영 분야에서 학술발표, 언론홍보, 농자재 등록 등 그 성과를 발표해 농업기술발전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알통

[2015.09 알통 193호] 병해-과수 화상병의 병리

작성자 한국식물연구소

작성일 2015.09.19

4,460회

과수 화상병의 병리

Pathology of Fire blight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과수세균병(국명: 화상병, 영명: Fire blight, 학명: Erwina amylovora)은 사과, 배등 장미과 39 180종에 발생하고 큰 피해를 주는 병으로 식물방역법상 금지급병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북미, 유럽, 아시아 등 54개 국가의 사과, 배 등 묘목 및 생과실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화상병에 감염되면 과일나무의 잎은 흑갈색 병반이 발생하며, 그 후 잎맥을 따라서 발달하며 줄기는 윗부분부터 마르기 시작해 아래쪽으로 퍼져 새순이나 가지가 검게 변해 말라 죽거나 가지에서 암종이 발견되는데 이는 식물의 통수조직을 손상시킨다.

 

Erwina amylovora은 장내세균과에 속하며 그람 음성의 통성혐기성 간균(0.5~1.0 x 3.0 mm)으로 주모성 편모를 가지고 있어 운동성을 가진다. 다른 그람음성균과 같이 N-acyl-homoserine lactones(AHL)이 신호전달 물질로 작용하여 quorum sensing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Erwina amylovora.jpg

그림1. Erwina amylovora

 

Erwina amylovora 생존 조건으로 높은 강수량과 긴 개화시기에서 발병하며 최저 3, 최적 18~31℃로 고온에서도 생장이 가능하다. 전염경로로는 나뭇가지나 나무줄기의 병환부에서 월동, 다음 해 봄 꿀벌과 같은 곤충에 매개에 의해 1차 전염되며, 일기가 습할 때 세균점액이 비바람 또는 곤충에 의해 주로 다른 나무로 전염된다.

1.jpg

그림2. 화상병 병징

화상병 전염경로.JPG

그림3. 화상병 전염경로

 

이번 화상병 의심 배나무는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외부 전문기관을 통한 용역연구과제(사과?배 과수원 발생 가지검은마름병 특성연구) 수행 중 처음 발견되었다. 가지검은마름병(Erwinia pyrifoliae sp. SLR8)에 의한 병징이 비슷하기 하여 PCR을 통한 유전자 확인을 통하여 확실한 진단이 가능하다.


가지검은마른병과 화상병의 특성비교.jpg


1. 가지검은마름병과 화상병의 특성 비교

 

 

*본 자료는 과수 화상병에 관한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인용, 작성하였습니다. 연구자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작성자: ㈜한국식물환경연구소 김종성 연구원>

 

<참고자료>

 

1.  Johnson. K.B. 2000. The plant health instructor. Fire blight of apple and pear.  

2.  Wayne F. Wilcox. 1994. Cornell cooperative extension. Fire blight.

3.  농림축산식품부. 2015. 보도자료. 과수화상병 발생현황 및 방제대책 추진상황

4.  포천시농업기술센터. 농업기술정보. 2006. 사과 가지검은바름병 방제대책.

5.  안태석 외 6. 2007. 신광문화사. 환경미생물학.

6.  Molina, L. F. G. B. 2005. Bacteriology. Autoinduction in Erwinia amylovera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