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 알통 196호] 병해-이삭누룩병의 생리 > 알통


소식 및 문의 자원 활용, 병해충 방제, 재배기술 개발, 농업경영 분야에서 학술발표, 언론홍보, 농자재 등록 등 그 성과를 발표해 농업기술발전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알통

[2015.12 알통 196호] 병해-이삭누룩병의 생리

작성자 한국식물연구소

작성일 2015.12.19

2,810회

이삭누룩병의 병리

Pathology of Ustilaginoidea virens

 이삭누룩병(Ustilaginoidea virens)의 벼에서의 발생 보고는 1878년 인도에서 처음 보고 되었으며 이후에  세계의 쌀 재배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후반 이후 이삭누룩병이 인도, 중국, 미국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비료사용의 증가와 다수확 품종 중 높은 감수성에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인도, 일본에서 이삭누룩병의 균핵이 Ustiloxins으로 알려진 곰팡이 독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졌다. A형과 ㅠ형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양이나 형태는 지리적 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Ustiloxin는 고리형펩티드로 식물과 동물에 미세소관의 기능을 방해하여 유사분열을 억제한다.

 

이삭누룩병.jpg

그림1. 이삭누룩병의 병징



  병원균은 균핵 또는 후막포자로 월동하고 이듬해 1차 전염원이 되는데, 발병된 벼알에 형성된 균핵은 주로 토양에서 월동하고 다음해 7-8월경 발아하여 자실체를 형성한다. 자실체에서 유출된 자낭포자가 공기 중으로 날아올라 수잉기의 엽초에 부착되었다가 벼꽃이 팰 무렵에 벼꽃을 통하여 벼알로 침입한다. 개화기에서 12주 지나면 벼알의 큰껍질과 작은껍질이 겹친 부분에서 청백색의 작은 균덩어리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점차 커져서 벼껍질을 둘러싸는 큰 덩어리가 된다. 이 덩어리는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점차 검은색으로 변하며 심할 때에는 한 이삭에 20개 이상 달릴 때도 있으며 가까운 부분의 벼알은 여물지 못한다.




Untitled-1.jpg

그림2. 이삭누룩병의 자낭포자와 후막포자의 순환 단계

(a) 벼꽃에 침입한U. virens을 트리판 블루로 염색, (b) 벼알에 형성된 이삭누룩병 형태, (c) 포자 공에 형성된 균핵, (d) 발아하여 분생포자를 형성, (e) 자낭포자, (f) 자낭, (g) 자낭포자의 발아, 10 μm, (h) 포자 공, (i) 전자현미경으로 후막포자 확인, 3 μm, (j) 후막포자 발아, 10 μm

   

*본 자료는 벼 이삭누룩병에 관한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인용, 작성하였습니다. 연구자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작성자: ㈜한국식물환경연구소 김종성 연구원>


  1. Yong Zhang, Nature communications 5 , 2014. Specific adaptaion of U. virensin occupying host florets revealed by comparative and functional genomics.

  2. Haned k.Abbs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4. Ustilaginoidea virens infection of Rice in Arkansas.

  3. 국가농작물병해충 관리시스템. 병해충진단. 이삭누룩병(False smut)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