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 알통 197호] 병해-이삭누룩병의 방제 > 알통


소식 및 문의 자원 활용, 병해충 방제, 재배기술 개발, 농업경영 분야에서 학술발표, 언론홍보, 농자재 등록 등 그 성과를 발표해 농업기술발전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알통

[2016.01 알통 197호] 병해-이삭누룩병의 방제

작성자 한국식물연구소

작성일 2016.01.16

3,238회

이삭누룩병의 방제

Control of Ustilaginoidea virens

 

이삭누룩병(Ustilaginoidea virens)은 벼껍질을 벗겨보면 내부는 흰색이나 겉은 짙은 녹색 혹은 검은색을 나타내고 이삭에 누룩을 형성하므로 쉽게 식별된다. 주로 토양에서 균핵 또는 후막포자로 월동 후 일차전염원이 되는데 균핵은 주로 토양에서 월동하고 다음해 7~8월경 발아하여 자실체를 형성한다. 자실체에서 유출된 자낭포자가 공기 중으로 날아올라 수잉기의 엽초에 부착되었다가 벼꽃이 필 무렵에 벼꽃을 통하여 벼알로 침입하다. 저온다습, 일조부족, 강우일수 등의 환경조건이 병 발생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환경의존형 병해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국내의 에서는 이삭누룩병은 벼의 생산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병해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기후 변화로 강우 일수가 증가하게 된다면 이삭누룩병의 발생이 증가로 고품질 쌀 생산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1.한반도지역의20세기말대비기온및강수량변화.jpg

그림1. 한반도지역의 20세기 말(1971~200) 대비 기온() 및 강수량(%) 변화

그림2.트레와다기준에의한아열대기후구전망.jpg

그림2. 트레와다 기준에 의한 아열대 기후구 전망

방제방법으로는 우선 발병되지 않은 포장의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며, 질소비료나 유기질 비료의 과용을 피해야한다. 규산질 비료의 사용은 발병을 억제시는 효과가 있다. 병 발생초기에 적용약제를 사용하여 방제 하며 상습 발생지에는 조생종 품종으로 재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본 자료는 벼 이삭누룩병에 관한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인용, 작성하였습니다. 연구자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작성자: ㈜한국식물환경연구소 김종성 연구원>

 

<참고자료>

 

1.        이두근 외 5. 2002. 호남농업시험장. 기상환경에 따른 벼 이삭누룩병 발생과 주요 품종별 발병정도. 학국자원식물확회지 15.

2.     심홍식 외 2. 2001. 농업과학기술원. 지역 및 품종에 따른 벼 이삭누룩병 발생과 약제방제 효과. 식물병리학회 Vol.7 No.2.

3.        국가농작물병해충 관리시스템. 병해충진단. 이삭누룩병(False smut)

4.        기상청 기후변화 경향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