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7 알통 203호] 병해-감자 제브라칩병의 생리 > 알통


소식 및 문의 자원 활용, 병해충 방제, 재배기술 개발, 농업경영 분야에서 학술발표, 언론홍보, 농자재 등록 등 그 성과를 발표해 농업기술발전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알통

[2016.07 알통 203호] 병해-감자 제브라칩병의 생리

작성자 한국식물연구소

작성일 2016.07.16

6,177회

감자 제브라칩병의 생리  

Biology of Potato Zebra chip(Candidatus Liberibacter solanacearuma)

 

제브라칩(Zebra chip, ZC)병은 산업적으로 피해를 있는 중요한 병으로 처음 1994년 멕시코 살티오 근처에서 발견되었으며 "papa manchada"로 불려지었으며, 1990년대 초반, 미국 텍사스 감자 농장에 많은 피해를 주었지만 2000년까지 확인이 되지 않았다. 이후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아이다호, 오레곤, 캔자스, 네브라스카, 뉴멕시코에서 보고 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 과테말라에서 "papa rayada" 제브라칩으로 보고했다. 뉴질랜드에서는 오클랜드 온실에서 2008년 처음 비슷한 증상이 발생했을며, 2012년 호주정부에서는 뉴질랜드의 감자 수입을 검토하였다. 동유럽과 러시아 남부에서도 발생이 되고 있다고 한다.

유럽식물병리학회지를 통해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동 병원세균의 분리 지역과 분리 기주에 따라 유전적 차이를 조사한 결과 3가지 타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 a 타입 : 온두라스, 과테말라, 멕시코 서부, 미국 아리조나?캘리포니아, 뉴질랜드에서 분리된 세균

? b 타입 : 멕시코 동부, 미국 텍사스~워싱턴주 중남부에서 분리된 세균

? c 타입 : 핀란드의 당근에서 분리된 세균

 

감자 등 가지과 식물을 주로 가해하는 세균병으로, 잎말림 및 괴경 변색(황색~보라색) 등의 병징을 보이며 나무이과(Psyllidae) 해충 등을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

산업에서 수백만불의 손실을 일으키고 작물 전체가 이병되어 전 포장이 버려지기도 한다. 식물 생육 과 수량은 심각하게 영향을 받으며 또한 이병된 괴경으로 가공한 칩 또는 튀김은 진한 갈색의 줄무늬를 나타내며 쓴맛이있어 상업적으로 이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수확 후 바로 식용으로 하는 감자, 저장 후 식용 감자와 수출용 감자 산업까지도 심각한 손실을 초래한다. 이병된 괴경은 보통 발아하지 않으며 발아가 되더라도 머리카락 같은 싹 또는 약한 식물체로 된다. 가지과 식물을 주로 가해하는 세균병으로, 잎말림 및 괴경 변색(황색~보라색) 등의 병징을 자주색이되고 웅크러 지며 마디가 부어오르고 도관의 조직이 갈변되며 수액이 변색된다. 최종적으로는 저장 중 괴경에서 병증상의 표시가 나타나며 매개충으로 나무이과(Psyllidae)가 있다.

제브라칩병징식물.jpg

제브라칩병징.JPG

그림1. 제브라칩 감염 식물과 감자절단면 및 가공 후 변색

제브라칩병은 이전에 기록된 적이 없는 Liberibacter라는 세균종과 관련이 있는데 잠정적으로 Candidatus Liberibacter solanacearum”로 명명하였으며 또한Ca. L. psyllaurous”로도 알려졌다. 이 세균은 감자이[potato psyllid, (Bactericera cockerelli)]라는 해충에 의해 감자에 전염되고 모든 상업적 감자 품종들은 본병에 이병성으로 알려 져 있다. 몇몇 국가는 일부 재배지역으로 부터 감자 선적은 선적이 허용되기 전에 병에 대한 검사를 요구하기 때문에 감자 감염 지역에서의 검역과 무역 문제가 있다.

 

 

*본 자료는 감자 제브라칩병 관한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인용, 작성하였습니다. 연구자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작성자: ㈜한국식물환경연구소 김종성>

 

 

<참고자료>

 

1.     감자 제브라칩병의 생물, 역학 및 방제. 함영일. 한국종자연구회지. 2014.

2.        Europe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EPPO). 'Candidatus Liberibacter solanacearum'.

3.        감자 외래병해충 유입 우려. 이경석. 2015. 농민신문.

4.        수출입검역동향. 식물검역부. 2012. 10.


 

go top